2025년에도 혜택 그대로, 자동차세 아끼는 방법 총정리
매년 1~2월쯤이면 자동차세 ‘연납’하라는 알림 문자 받아보신 적 있으시죠?
한 번에 미리 내면 세금을 할인해주는 제도인데요.
최근 “할인율이 줄어드는 거 아니냐”는 얘기도 있었지만, 기획재정부가 2025년에도 자동차세 연납 할인율 5%를 그대로 유지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렇다면 이 제도를 통해 어떻게, 얼마나 절세가 가능한지 자동차세 연납제도의 핵심만 정리해드릴게요.
도움되는 글
자동차세 연납제도란?
자동차세 연납이란 1년 치 자동차세를 미리 납부하면 일정 금액을 할인해주는 제도입니다.
보통 자동차세는 6월과 12월 두 번에 나눠서 부과되지만, 1월에 연납을 하면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어 많은 분들이 활용하고 있죠.
항목 | 내용 |
---|---|
제도명 | 자동차세 연납제도 (선납제도) |
적용 대상 | 등록된 자동차를 보유한 모든 납세자 |
납부 시기 | 1월, 3월, 6월, 9월 선택 가능 (1월이 가장 할인율 큼) |
할인 혜택 | 1월 연납 시 5% 할인 (2025년에도 유지) |
2025년에도 연납하면 얼마 절약될까?
이번 발표에 따라 2025년에도 연납 시 5% 할인 혜택을 그대로 누릴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세가 연간 40만 원인 차량이라면 약 2만 원 할인을 받게 되는 셈이죠.
납부 시기 | 할인율 | 연간 세금 40만 원 기준 절감액 |
---|---|---|
1월 (연납) | 5% | 약 20,000원 할인 |
3월 | 3.75% | 약 15,000원 할인 |
6월 | 2.5% | 약 10,000원 할인 |
9월 | 1.25% | 약 5,000원 할인 |
최대 할인은 1월 중 납부했을 때만 적용되니, 알림 받자마자 바로 납부하는 것이 팁이에요!
연납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신청은 간단합니다.
위택스(www.wetax.go.kr) 또는 지방자치단체 세무과, ARS 납부 전화를 통해 신청할 수 있어요.
신청 및 납부 방법
- 위택스 접속 → 회원 또는 비회원 로그인
- 자동차세 연납 신청 메뉴 선택
- 차량정보 확인 후 납부
- 카드·계좌이체 등 다양한 방식으로 납부 가능
일부 지역은 **지방세 앱(서울시 이택스, 위택스 앱 등)**으로도 연납이 가능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A)
Q. 중간에 차량을 팔거나 폐차하면?
👉 연납한 세금 중 남은 기간만큼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Q. 연납 신청은 매년 다시 해야 하나요?
👉 네, 자동 갱신이 아니므로 매년 신청해야 할인 적용돼요.
Q. 이사로 지역이 바뀌면 어떻게 되나요?
👉 새로운 지자체로 연납 내역이 자동 이관됩니다. 걱정 마세요!
5% 할인, 작지만 확실한 절세 습관
자동차세 연납은 복잡하지 않으면서도, 매년 수만 원의 세금을 줄일 수 있는 실속 있는 제도입니다.
이번 정부 발표로 2025년에도 5% 할인 유지가 확정된 만큼, 놓치지 말고 1월에 꼭 연납 신청하시길 추천드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