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도 이제 2달 반 정도 남았습니다. 이 맘때쯤 들리는 주요 소식 중 하나는 바로 다음연도 최저임금이 아닐까 싶은데요. 2025년 최저임금이 지난 8월 9일에 발표가 났습니다.
소식이 빠른 분들은 이미 아시겠지만 그렇지 않은 분들이라면 지금 이 포스팅으로 2025년 최저임금, 최저시급, 바뀐 한달 급여, 연봉 및 실수령액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세한 내용 살펴보시죠.
[추천글]
2025년 최저임금 2024년 비교
우선 2025년 최저임금은 시간당 10030원으로 발표되었습니다. 이는 2024년 최저임금인 9860원에 비해 170원 인상된 금액이며 상승율은 1.7%입니다.
이에 따라 표준 일일 근로시간 8시간으로 환산하면 일급 80,240원이되며 한달 급여로 보았을땐, 2,096,200원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2025년 최저월급은 2024년 기준으로 35530원인상되었습니다.
연도 | 최저시급 | 최저일급 (8시간 기준) | 최저월급 (209시간 기준) |
---|---|---|---|
2025 | 10,030 | 80,240 | 2,096,270 |
2024 | 9,860 | 78,880 | 2,060,740 |
2025년 최저임금 실수령액
위 내용을 토대로 정말 실제로 내 손에 들어오는 실수령액이 궁금해집니다.
이를 쉽게 계산해주는 계산기가 있는데 바로 네이버의 연봉계산기 서비스입니다.
위 링크에 접속하시면 해당 계산기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선 먼저 2025년 최저 한달급여 실수령액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2025년 최저 급여 실수령액
2025년 최저임금 급여액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계산이 됩니다.
아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의 요소가 공제됩니다.

- 국민연금 : 85,330원
- 건강보험 : 67,220원
- 요양보험 : 8,700원
- 고용보험 : 17,060원
- 소득세 : 16,970원
- 지방소득세 : 1,690원
위 공제 금액을 제한 실수령액은 1,899,300원입니다.
2025년 최저 연봉 실수령액
이제 한달 최저임금을 12를 곱하여 최저연봉을 계산하면 25,155,240원 나옵니다.
최저연봉은 2500만원 수준인데요. 여기에서 네이버 연봉계산기를 이용해 실수령 연봉을 계산해보겠습니다.

실수령 급여 1,899,300원에 12를 곱한 22,791,600원이 실수령 연봉으로 계산이 되었습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2025년 최저임금 , 최저시급 , 한달급여, 연봉 실수령액에 대해 궁금한점을 알아보았습니다.
QnA
주휴수당은 무엇인가요?
근로자 1주일에 소정의 근로시간을 제공하였을때 받을 수 있는 유급휴일을 말합니다. 통상 1주일 개근 시 하루의 일급을 제공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위키 백과를 참고해주세요.
주휴수당 바로가기(위키백과)
